§ Note&News

2006년 병술년 개(戌)에대한 고찰

컨설턴트 박태건 2006. 1. 29. 16:32
 
2006년 병술년 개(戌)에대해│건국건설정보 컨설턴트 박기태(정쾌)
개(戌)는 십이지의 열한 번째 동물로서 시간으로는 오후 7시에서 9시, 방향으로는 서북서, 달로는 음력 9월에 해당한다.
 

 

 

 

 

시나리오 내용
# 1 메인타이틀 : "개"

# 2 오프닝 :"개"는 십이지의 열한 번째 동물로서 시간으로는 오후 7시에서 9시, 방향으로는 서북서, 달로는 음력 9월에 해당한다.

# 3 현재의 개 : 다양화된 현대사회 뿐 아니라, 인류역사를 거슬러 올라가도 개만큼 친근한 동물은 없을 것이다. 더욱이 개인화, 핵가족화는 현대인에게 '정'을 느낄 대상을 찾게 만들었다. 예민한 감각과 온순한 성질, 주인을 잘 따르는 충성심, 낯선 사람에겐 경계심을 보이는 개가 그 빈자리를 채워주고 있는 것이 요즘 현실이다. '개는 사흘만 기르면 주인을 알아 본다' 라는 속담이 있을 정도로 인간과 거의 동일시되어 온 동물이 바로 '개'인 것이다.

# 4 한국의 토종개 :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토종개인 진돗개는 천연기념물 제53호로 강한 귀소본능과 용맹성을 가졌다. '삽살개 있는 곳에는 귀신도 얼씬 못한다'는 속담이 있다. 삽살개는 온몸이 털로 덮여있어 신선이나 도사가 연상되기도 하고, 저승사자를 막아주던 개이기도 하다. 풍산개는 뛰어난 순발력과 지구력으로 개마고원 일대에서 사냥용 수렵견으로 이용되어 왔다. 꼬리가 없는 개, 댕견은 조선시대 '꼬리가 없는 동물과 인간이 가까이 하면 재앙이 온다'는 속설로 인해 많이 사라진 희귀견이다. 몸이 유연하고 민첩하고, 꼬리가 없는 대신 청각과 후각이 많이 발달했다.

# 5 개관련 유물 : 많은 동물 중에서 사랑스럽고 친근함을 지닌 개는 풍속화 속에도 인간과 가장 가까이에 그려져 있다. 풍속화에 나타난 개는 사실적이고 토속적인 모습이고, 민화에서는 벽사의 의미로서 과장된 모습으로 그려졌다.

# 6 오수의 개 : '오수의 개'라고 불리는 의견은 인간이 가진 덕성인 지혜, 용기, 효행을 겸비하여 '못된 사람보다 낫다'는 칭송을 받았다고 전해진다.

# 7 설화 및 의견제 : 지금으로부터 1천년 전 신라 거령현에 김개인 이라는 사람이 살고 있었다. 그는 개를 무척 좋아해 항상 데리고 다녔다. 어느 해 이른 봄 오수장에 술을 마시고 집으로 돌아가는 길에, 김개인은 술에 취해 몸을 가누지 못하고 쓰러져 잠이 들었다. 그런데 어디선가 들불이 번져오기 시작했고, 충성스런 개는 주인을 깨우려 했지만 만취한 주인은 깨지를 않았다. 개는 급히 냇가로 달려가 온몸에 물을 적시어 주인곁의 잔디를 적시기를 반복했고, 너무나 지친 개는 주인 옆에 쓰러져 죽었다. 깨어나 상황을 파악한 김개인은 자신을 살리고 죽어간 개를 안고 원통해 했다. 개의 장사를 치룬 뒤 그 자리에 평소 짚고 다니던 지팡이를 꽂았는데 얼마 뒤 그 지팡이에서 싹이 나고 커다란 느티나무가 되었다. 그래서 그 때부터 사람들은 그 나무를 오수라 불렀다. '모든 사물에 불성이 있다는' 는 불교의 심오한 진리를 떠올리게 하는 이 이야기는 오늘날 '오수 의견제'를 통해 되새겨 지고 있다.

# 8 개의 쓰임새 : 강한 경계심과 움직이는 물체에 민감한 경찰견은 범인을 추격하거나 잡는데 도움을 준다. 또한, 예민한 청각과 후각은 첨단 과학 장비를 능가하는 탐지능력을 갖고 있다. 도우미견들은 소외되고, 불편한 장애인들의 일상생활을 도와주고, 활력을 주는 동반자이기도 하다. 보청견은 청각장애인들이 필요로 하는 일상의 소리를 구별하여 듣고 주인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우리나라에선 전통적으로 개고기가 대표적인 보신음식으로 이어져 오고 있다. '복날 개고기를 삶아 먹고 땀을 흘리고 나면 허한 기운을 보충할 수 있다'하여 '보신탕'이라 불리는 개장. "중국에서는 향육. 북한에서는 단고기"라 불리는 개고기는 소화흡수력이 뛰어나고 양질의 영양가를 많이 갖고 있다. 그러나 개고기의 식용에 대한 찬반논쟁이 뜨거운 만큼 지혜로운 절충점을 찾아야겠다.

# 9엔딩 : 시대가 바뀌고 문화가 달라져도 우리 곁에 늘 함께하는 개.
한번 마음을 주면 절대 주인을 배반하지 않는 개.
이런 개를 통해 점점 이해타산 적이 되어가는 현대인의 모습을 되돌아보는 건 어떨까...
 
주요설명
 

개띠 해는 육갑(六甲) 가운데 갑술(甲戌), 병술(丙戌), 무술(戊戌), 경술(庚戌), 임술(壬戌) 등으로 순행한다. 십이지의 열한 번째 동물인 개(戌)는 시간으로는 오후 7시에서 9시, 방향으로는 서북서, 달(月)로는 음력 9월에 해당하는 방위신이자 시간신이다. 개(戌)는 이 방향과 이 시각에 오는 사기(邪氣)를 막는 동물신(動物神)이다.


우리 주위에서 볼 수 있는 동물 가운데 가장 흔히 접할 수 있고, 인간과 가장 친밀하고 밀접한 관계를 가지는 동물은 개이다. 개는 그 성질이 온순하고 영리하여 사람을 잘 따르며, 개는 후각과 청각이 예민하고 경계심이 강하다. 또 자기의 세력 범위 안에서는 대단한 용맹성을 보인다. 특히 주인에게는 충성심을 가지며, 그 밖의 낯선 사람에게는 적대심, 경계심을 갖는다. 아주 오랜 시기를 같이 살아온 개는 동서를 막론하고 인간에게 헌신하는 충복의 상징이다. 특히 설화에 나타나는 의견(義犬)은 충성과 의리를 갖춘 우호적이고 희생적인 행동을 한다.


의견 설화와 의견 동상, 의견 무덤 등의 다양한 이야깃거리는 전국에서 전승된다. 그런가 하면 서당개, 맹견, 못된 개, 미운 개, 저질 개, 똥개, 천덕꾸러기 개는 비천함의 상징으로 우리 속담이나 험구(욕)에 많이 나타난다. 동물 가운데 개만큼 우리 속담에 자주 등장하는 경우도 드물다. 개살구, 개맨드라미 등 명칭 앞에 ‘개’ 가 붙으면 비천하고 격이 낮은 사물이 된다.

예로부터 개는 집 지키기, 사냥, 맹인 안내, 수호신 등의 역할뿐만 아니라, 잡귀와 병도깨비, 요귀 등 재앙을 물리치고 집안의 행복을 지키는 능력이 있다고 전해진다. 특히 흰 개는 전염병, 병도깨비, 잡귀를 물리치는 등 벽사 능력뿐만 아니라, 집안에 좋은 일이 있게 하고, 미리 재난을 경고하고 예방해 준다고 믿어 왔다.『삼국유사』에 보면 백제의 멸망에 앞서 사비성의 개들이 왕궁을 향해 슬피 울었다고 기록하고 있다. 집에서 기르던


개가 슬피 울면 집안에 초상이 난다 하여 개를 팔아 버리는 습속이 있다. 또, 개가 이유 없이 땅을 파면 무덤을 파는 암시라 하여 개를 없애고, 집안이 무사하기를 천지신명에게 빌고 근신하면서 불행에 대비한다.

무속신화, 저승설화에서는 죽었다가 다시 환생(還生)하여 저승에서 이승으로 오는 길을 안내해 주는 동물이 하얀 강아지이다. 이처럼 개는 이승과 저승을 연결하는 매개의 기능을 수행하는 동물로 인식되었다. 옛 그림에서도 개 그림이 많이 나온다. 동양에서는 그림을 문자의 의미로 바꾸어 그리는 경우가 흔하다. 개가 그려진 그림을 보면 나무 아래에 있는 개 그림이 많다. 이암의 화조구자도와 모견도, 김두량의 흑구도 등이 그 예인데, 나무(樹) 아래에 그려진 개는 바로 집을 잘 지켜 도둑막음을 상징한다. 개는 ‘戌’(개 술)이고, 나무는 ‘樹’(나무 수)이다.
‘戌’은 ‘戍’(지킬 수)와 글자 모양이 비슷하고, ‘戍’는 ‘守’(지킬 수)와 음이 같을 뿐만 아니라 ‘樹’와도 음이 같기 때문에 동일시된다. 즉 “戌戍樹守”로 도둑맞지 않게 잘 지킨다는 뜻이 된다. 이와 같은 개의 그림을 그려 붙임으로써 도둑을 막는 힘이 있다고 믿었다. 이러한 일종의 주술적 속신(呪術的 俗信)은 시대를 거슬려 올라가 고구려 각저총의 전실과 현실의 통로 왼편 벽면에도 무덤을 잘 지키라는 의미에서 개 그림을 그려 놓았다.


사람들은 주인에게 보은할 줄 알고 영리한 개를 사랑하고 즐겨 기르고 있지만, 다른 한편으로 흔히 천한 것을 비유할 때 개에 빗대어 이야기한다. 개는 아무리 영리해도 사람대접을 못 받는다. 밖에서 자야하고 사람이 먹다 남은 것을 먹어야 한다. 사람보다는 낮고 천하게 대접받는다. 개에게는 밝은 면과 어두운 면이 있으니 의로운 동물이라는 칭찬과 천하다고 얕잡아 취급하는 양면이 있다. 즉, 개에 대한 민속 모형은 충복과 비천의 양면성을 지니고 있다.

 
 
 
 
 
 

다른곳에서 유사문서찾기

 
네이버에서 유사문서 찾기 엠파스에스 유사문서 찾기 다음에서 유사문서 찾기 야후에서 유사문서 찾기
       
파란에서 유사문서 찾기 드림위즈에서 유사문서 찾기 네이트에서 유사문서 찾기 프리첼에서 유사문서 찾기
       
콜(구 심마니)에서 유사문서 찾기 구글에서 유사문서 찾기 알타비스타에서 유사문서 찾기 더플에서 유사문서 찾기
 
 
 
 
 
KAMCHO MEMO SPACE  2006-1-29 (음력정월1-1 戊午 설날)

☞ 건국건설정보 사훈
   미래지향 (미래를 꿈꾸며 사는 청년의 눈으로,마음으로,생각으로)
   도전정신 (나의 한계를 알고,한계의 벽을 부수자)
   가치창조 (이의가치창조,미의가치창조,선의가치창조)

☞ 올해에는 자부(子婦)를 맞게 되신다죠

   올해에는 결혼 하신다죠

   올해에는 생남(生男)하신다죠

   올해에는 승진하신다죠

   올해에는 돈을 많이 버신다죠


   올해 로또 1등 당첨되신다죠

   올해는 전과목 A+ 받어신다죠

   올해는 최고의 블로그,카폐,커뮤니티가 되신다죠

                                     

                                                                 

제공:

   
 
법인설립부터 기업진단(건설업등록증,수첩)발급까지 일괄처리 전문업체/경영컨설턴트:박기태 실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