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이 함께 부르는 노래 윤극영 작사, 작곡의 ‘반달’ | ||||||||||||
| ||||||||||||
| ||||||||||||
| ||||||||||||
2025 M Street NW, Suite 300, Washington DC 20036, USA | ||||||||||||
| ||||||||||||
주간 기획 '남북이 함께 부르는 노래' 오늘은 1920년대 작곡돼 한국뿐만 아니라 중국, 일본에서 까지 널리 불리는 윤극영 작사, 작곡의 ‘반달’을 함께 들어봅니다.
| ||||||||||||
music (반달-어린이 독창) | ||||||||||||
윤극영尹克榮선생(1903-1988) 작사, 작곡 반달은 한국의 근대음악이 싹트던 1920년대로 특히 1923년은 당시의 어린이들에게는 길이 기억될 기념비적인 한 해였습니다.
‘반달’은 작곡된 이후 남녀노소 나이 구별 없이 온 겨레의 노래가 됐습니다. 윤극영 선생조차도 훗날 그렇듯 짧은 세월에 그렇게 까지 널리 퍼질 줄은 생각지도 못했다고 회상했습니다. | ||||||||||||
1903년에 출생해 지난 1988년 작고한 윤극영 선생은 생전에 자신이 반달을 만들던 당시를 날짜까지 정확하게 기억하고 있었습니다. | ||||||||||||
music (반달 - 이선희 노래) | ||||||||||||
전부듣기 | ||||||||||||
| ||||||||||||
반달은 1950년대 초 북경에서 조선족 김정평씨와 그의 아버지 김철남씨가 중국어로 가사를 번역, 편곡해 음반으로 내 널리 불리다가 | ||||||||||||
추응운 지휘자 :
반달 노래가 중국식 가사로 돼서 중국교과서에 들어가 있구요, 일본 초등학교 교과서에도 들어가 있습니다. | ||||||||||||
그러나 일본 교과서에는 작곡자 이름이 틀리게 돼 있어 추응운씨는 이를 시정해 달라고 요구했다고 말했습니다.
| ||||||||||||
추응운 지휘자 :
| ||||||||||||
반달-중국식 노래 | ||||||||||||
▽전부듣기 / ▷가사보기 | ||||||||||||
| ||||||||||||
추응운씨는 올해 4월에 금강산 온정각에서 열린 남한 mbc 방송의 창작동요제에 특별 출연해 지휘를 했습니다. | ||||||||||||
추응운 지휘자 :
| ||||||||||||
추응운씨는 임진각에서 남북한 어린이들이 대거 참여해 함께 노래하며 통일을 기원하는 행사를 구상중이지만 북한측이 순수하게 받아들이지 않고 있어서 아직은 시간이 더 필요할 것 같다고 말했습니다.
| ||||||||||||
추응운 지휘자 : | ||||||||||||
그러나 추응운씨는 언젠가는 임진각에서 남북한 어린이들이 함께 모여 통일의 노래를 소리 높여 부를 그 날이 올 것이라 믿고 있습니다.
| ||||||||||||
추응운 지휘자:
| ||||||||||||
우리의소원은 통일 듣기 | ||||||||||||
| ||||||||||||
안석주(安碩柱) 작사, 안병원(安丙元) 작곡 | ||||||||||||
| ||||||||||||
자료참고: Radio Free Asia(자유아시아방송) | ||||||||||||
윤극영 작곡작사 반달을 조명해 본다 | ||||||||||||
'§ 소리찾아 산만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뮤직비디오 모음[800x480,900k] WMV 다운로드(4.19일까지) (0) | 2008.04.15 |
---|---|
퓨젼 코믹사극 KBS 2TV ‘쾌도 홍길동’OST (0) | 2008.03.29 |
슈퍼맨 이었던 사나이(曾是超人的男子) (0) | 2008.03.22 |
월량대표아적심月亮代表我的心/덩리쥔(鄧麗君 deng li jun) (0) | 2008.03.19 |
친구야~친구야 (0) | 2008.03.10 |